서비스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 홈페이지정보 바로가기

마케팅정보

  • 홈
  • 비즈니스속보
  • 마케팅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중국 온라인 입시교육의 발전 현황
등록일 2014.10.27
<개요>1년에 한번 있는 중국 대학입시는 한국에서만큼 매우 중시되고 있다. 이틀간 진행된 2013년 중국 대학입시에는 무려 900만여 명이 참가했으며, 재수생도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입시교육 시장은 빠르게 발전하여 이미 고속 성장기에 진입했고, 현재 시장규모가 700억 위안에 달하고 있다. 중국 입시교육시장은 민영자본에 대한 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점점 치열한 경쟁 국면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2012년부터 점차 온라인과 모바일 경쟁으로 경쟁이 번지기 시작했다. 인터넷 기술의 신속한 발전과 광대역, 무선네트워크의 보급이 빨라지면서 교육시장에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 교육기업들이 온라인 교육사업에 투자하기 시작했고, 온라인교육 분야에서 소규모 창업기업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점차 늘어나면서 온라인 교육에 대한 네티즌의 인지도도 차츰 높아지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중국 온라인교육시장이 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중국 교육시장은 오프라인, 온라인 모두 무질서한 시장 진입, 경쟁 과열, 허위광고, 강사의 자질 부족 등 문제가 공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시장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중국 입시교육시장 발전 현황

– 중국은 지역별로 교육의 질과 교육기관 수가 불균형적으로 발전되어 있어 중국 대학입시는 물론 초•중•고등학교의 입시도 매우 치열하고 사회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국•영•수 보습학원이나 입시 전문학원을 중국에서는 유치원부터 초•중•고등학교 12년 간의 교육을 가르친다 하여 ‘K12’교육으로 부름

– 중국에서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입시교육 시장은 그 발전 시기가 매우 늦었고, 대부분 개인과외에서 점차 기업형으로 발전한 형태임

– 중국 교육업계의 대표기업인 신동방(新东方, 코참 143호 참조)의 K12 교육사업은 주로 영어에 집중되어 있고, ‘올림피아드 수학경시대회’ 과외에서 시작한 쉐얼스(学而思, 코참 129호 참조)는 수학에, 쉐다(学大)는 초중고학생의 1:1맞춤형 과외와 대학교 입시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 <2013 Sohu 교육업 백서> 에 따르면 상기 3개 기업의 K12교육사업 영업수익(2011년 회계연도 기준)은 순서대로 2.94억 달러, 1.77억 달러, 2.21억 달러로 나타남

– 특히 대학진학을 목표로 한 지난 2013년 중국 대학입시에는 무려 900만여 명이 참가해 중국 대학입시를 겨냥한 교육시장의 잠재력이 얼마나 엄청난가를 잘 보여줌

– 게다가 재수생도 갈수록 늘고 있음. 베이징시의 경우 대학입시 지원자 수는 지난 5년 동안 줄곧 감소세를 보인 반해 재수생은 계속 증가해 사상 최대를 기록함

– 재수생들의 평균 점수도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고득점을 얻기 위해 사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의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거대한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K12교육 시장에 대한 민영자본 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 경쟁이 점차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2012년부터 이 경쟁이 온라인과 모바일 시장으로 번지기 시작함

– 온라인 교육시장의 경쟁은 단순한 교육 콘텐츠 상의 경쟁에서 더욱 확대되어 네트워크식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경쟁, 각종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APP 응용프로그램의 경쟁, micro lectures의 발전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온라인 교육시장

– 인터넷 기술의 신속한 발전과 광대역, 무선네트워크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교육시장도 변화가 발생함. 특히 2012년은 온라인교육 시장이 크게 성장한 한 해였음

– 중국의 대표적 교육기업들이 온라인교육사업에 투자하기 시작했고, 온라인교육 분야에서 창업기업도 우후죽순으로 나타나기 시작함

[중국의 유형별 주요 온라인교육 사이트]

ㅇB2C상호교류형
微课网(www.vko.cn)
淘宝同学(오픈 예정)

ㅇB2C 일방향형
学而思网校(www.xueersi.com)
新东方在线(www.Koolearn.com)
101远程网校(www.chinaedu.com)
中华会计网校(www.chinaacc.com)
决胜网(www.juesheng.com)

ㅇC2C전자상거래
第九课堂(www.dijiuke.com)
传课网(www.chuanke.com)
YY教育(edu.yy.com)

ㅇC2C소셜 네트워크
多贝网(www.duobei.com)
粉笔网(www.fenbi.com)
e度教育网(www.eduu.com)

*출처: <2012 Sohu 교육업 백서>, 현지 언론보도 종합

– 전문 온라인교육 기업뿐만 아니라 왕이(网易), 텅쉰(腾讯), 소후(搜狐) 등 기존 포털사이트에서도 온라인 공개강좌를 개설하는 등 온라인 교육시장에 뛰어듦

– 2012년 12월 말에는 교육업계의 제3자 플랫폼인 보러닷컴(www.bole.com)이 개설되어 신동방, 안보교육(安博教育) 등 여러 유명 교육기관과 전략적 협력을 맺고 온라인교육 보급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

– 또한 온라인 교육의 방식 또한 매우 다양화되어 소비자들의 서로 다른 수요를 충족하는데 양호한 기반을 제공함

– 신동방(新东方)은 오프라인 경영과 함께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하고, 줴성닷컷(决胜网)은 학생 실력테스트+맞춤교육시스템 추천+교육상품 구매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 지난 7월 중국의 대형 인터넷 쇼핑사이트인 타오바오(淘宝)도 온라인교육 분야 진출을 발표하면서, 교육 관련 상품과 서비스의 구매, 유통, 환불 역할을 하는 B2B와 B2C 혼합형 플랫폼인 ‘타오바오통쉐(淘宝同学)’ 오픈을 준비 중임

– 작년 타오바오의 교육 관련 매출액은 3.3억 위안이며, 그 중 1/3이교재 및 보조 교육용품, 나머지 2억 위안은 커리큘럼 매출액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타오바오의 내부 추산에 따르면 타오바오 온라인교육 부문의 하루 평균 거래액이 300만 위안에 달해 연간 거래 규모 10억 위안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점차 늘어나면서 온라인 교육에 대한 네티즌의 인지도도 점진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13년 중국 온라인교육시장이 더 비약적인 발전을 거둘 것으로 전망됨

– 신동방 설립자인 위민훙(俞敏洪) 대표는 늦어도 5년 안에 교육시장에서 온라인교육 점유율이 40%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신동방그룹을 비롯한 홍성교육(弘成教育), 솽웨이교육(双威教育), 환구천하(环球天下) 등 현재 미국에 상장된 11개 중국 교육기업이 모두 온라인교육 사업을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까지 온라인교육 부문에서 큰 수익을 거둔 기업은 많지 않아, 줴성닷컴은 2012년 4,000만 위안의 매출을 올려 15%의 이윤율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업은 대체로 수익률이 낮거나 적자임

– 온라인교육은 강제성이 낮아 절대적으로 이용자의 의지에 의존해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밖에 없고 효과가 가시화되기까지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을 붙잡아둘 수 있는 능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임

– <2012 Sohu 교육업 백서> 조사에 따르면, 2012년 중국 온라인교육시장 규모는 약 723억 위안에 달하며, 온라인교육 이용자 규모도 지속 확대되는 추세임

– 상기 조사 결과는 온라인을 통해 정규 교육과정, 직업기술교육, 전문자격증 시험 교육을 받고자 하는 수요가 매우 왕성함을 보여 주었으며, 현재 동영상이나 소셜네트워크 등 방식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 이용자 중 57%가 직장인이고, 대학생이 32%를 차지하고 초중고 학생의 비율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 <교육 청서: 중국 교육발전보고(2012)>에서 발표한 2012년 중국 교육업 시장 규모는 9,600억 위안으로, 이를 토대로 추산하면 온라인교육 시장 비중은 아직 약 7.5%에 불과해 향후 성장잠재력이 매우 큼

– 비록 기존 대형 교육기업이 온라인 사업에 꾸준히 투자하고 있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어, 소규모의 전문적 온라인 교육기업이 중국 온라인교육시장의 발전을 주도할 것으로 보임

–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중국 교육시장은 오프라인, 온라인 모두 무질서한 시장 진입, 경쟁 과열, 허위광고, 강사의 자질 부족 등 문제가 공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시장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임

– 이에 2012년 6월 18일, 교육부는 <교육부의 민간자본의 교육분야 진입 및 민간교육의 건전한 발전 촉진을 장려하고 유도하는 것에 관한 시행의견>(약칭 ‘22조’)를 발표하였음

– 이 ‘22조’를 바탕으로 기존의 민간교육기관의 법인 소속 문제(교육부문or상업부문), 재산권 귀속 문제, 교사와 학생들의 권익 문제, 시장 감독 및 정부의 지원 문제 등이 올해 안에 해결될 기미가 보임

*출처: 法制晚报(www.fawan.com.cn), 中国教育装备网(www.ceiea.com), 中国网教育(edu. china.com.cn), 北京青年报(bjyouth.ynet.com), 人民网(www.people.com.cn), 中国教育在线(www.eol.cn), 搜狐教育(learning.sohu.com)